운영체제에서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그 순간 process가 존재. OS 구성요소 내부에는 TCP/IP, 디바이스 Driver, NIC 존재 TCP/IP는 커널 수준에서 구현되어 있는데, user mode application이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됨. 이 인터페이스의 본질은 File이나, 프로토콜을 추상화했기 때문에 File이라 하지 않고 Socket이라 한다. 소켓을 생성할 때 TCP 소켓인 경우에 소켓에 할당되는 정보 중 하나가 바로 Port 번호. 이미 사용 중인 포트는 중복 사용될 수 없으므로 포트 번호를 지정할 때는 해당 포트가 사용 중인지 확인해야 함. cmd창에 netstat -ano 명령어를 입력해 해당하는 포트에 어떤 프로그램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 -a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