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ocket이란, (TCP/IP) 소켓이라고 했을 때, Kernel에서 작동하는 TCP, IP를 User Application에서 어떻게 제어 할지를 추상화한 파일
User
OSI L7~5, Application, Proces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Kernel
OSI L4~3, Transport, Network, TCP, IP
식별자:
TCP - Port 번호
IP - IP 주소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H/W
OSI L2~1, Access, NIC
식별자: MAC 주소
MAC 주소:
NIC (Network Interface Card) (유/무선 LAN카드) 에 대한 식별자
NIC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?
컴퓨터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하드웨어 장치.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정보가 컴퓨터에 들어오고 나가는 문 역할
MAC주소는 변경할 수 있다
IP 주소:
Host에 대한 식별자
Host란? -> 인터넷(네트워크)에 연결된 컴퓨터
IP주소는 NIC하나에 여러개를 바인딩 가능
Port 번호:
식별하는 대상에 따라서 해석의 관점이 다르다.
User mode 개발: 프로세스 식별자
Kernel mode 개발: 서비스 식별자
H/W 관련: 인터페이스 번호
Host
host: 컴퓨터가 Network에 연결이 돼 있으면 호스트라고 부른다.
호스트는 크게 network 이용주체와 network자체로 나뉜다.
Switch : 컴퓨터가 network에 연결된 호스트가 아닌 컴퓨터 자체가 network를 이루고 있을때 Switch가 된다. 대표적으로 Router가 있다.
EndPoint : network 이용주체의 다른말이다. 이용주체는 Peer, Server, Client등으로 기능과 존제의 이유에따라서 나뉜다.
Network: 가장 큰 풀이 internet이다 이 internet을 이루는 핵심 구성요소가 Router와 dns가 됩니다.
네트워크 자체를 이루고 있는 컴퓨터가 switch고 대표적인 스위치가 라우터가 있다. 방화벽이나 IPS또한 스위치이며 이와같이 보안을위해 스위칭을 하는 것을 보안 스위치라고 합니다.
OSI 7 계층에서 2계층부터 (L2스위치) ~ 7계층(L7스위치)으로 이동 이 계층에서 계층의 수가 높을수록 복잡하고 비용도 많이들어가게 된다. 라우터는 3계층에 속하는 장비이다. 흔히 TCP/IP로 불리는데 이 이유또한 TCP는 4계층 IP는 3계층에 있어서 계층이 다르기때문에"/"가 붙여진다.
https://youtube.com/playlist?list=PLXvgR_grOs1BFH-TuqFsfHqbh-gpMbFoy&si=VdMOWBa89AHdNoCl
'Computer Science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데이터 단위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(0) | 2025.02.13 |
---|---|
IP 주소 (0) | 2025.02.13 |